반응형

문제

조규현과 백승환은 터렛에 근무하는 직원이다. 하지만 워낙 존재감이 없어서 인구수는 차지하지 않는다. 다음은 조규현과 백승환의 사진이다.

이석원은 조규현과 백승환에게 상대편 마린(류재명)의 위치를 계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조규현과 백승환은 각각 자신의 터렛 위치에서 현재 적까지의 거리를 계산했다.

조규현의 좌표 (x1, y1)와 백승환의 좌표 (x2, y2)가 주어지고, 조규현이 계산한 류재명과의 거리 r1과 백승환이 계산한 류재명과의 거리 r2가 주어졌을 때, 류재명이 있을 수 있는 좌표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한 줄에 x1, y1, r1, x2, y2, r2가 주어진다. x1, y1, x2, y2는 -1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고, r1, r2는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류재명이 있을 수 있는 위치의 수를 출력한다. 만약 류재명이 있을 수 있는 위치의 개수가 무한대일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해설

이 문제는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하더라도, 아래와 같은 이유로 틀리기가 쉽다.

 

1. 소수점 오차의 문제

2. 모든 케이스를 커버하지 못하는경우

 

특히 소수점 오차로 인하여 틀리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은데, 이 문제는 제곱근을 취하지 않고

 

비교 대상을 제곱하여 비교연산을 한다면 정수형만으로 문제를 풀 수 있다.

 

문제를 푸는 핵심은 

 

* 두 점 사이의 거리와 r1, r2를 이용하여 두 원이 어떤 모양으로 접하는지를 파악

 

x1, y1과 x2,y2가 같은 점인 경우에는

 

r1, r2의 같다면 무수히 많은 점이 접하게 되고, 다른 경우 하나의 점도 만나지 않게 된다.

 

이 경우는 간단하기 때문에 그림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점이 다른 경우의  case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ase1 두 원이 외접하는 경우

 

두 원이 외접

 

외접하는 경우는 r1 + r1 가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같다.

 

Case2 두 원이 내접하는 경우

두 원이 내접하는 경우

두 원이 내접하는 경우에는 r2-r1의 값이 d와 같다.(단 여기서 r2는 r1, r2 중에 더 긴 값이다.)

하지만 코드상에서는 제곱을 하기때문에 r1, r2 중 누가 더 긴지 비교를 할 필요는 없다.

 

Case3 두 원이 두 점에서 만나는 경우

이 경우는 Case1과 Case2 사이에서 원이 존재라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 > 를 이용하여 구하면 된다.

 

Case4 두 원이 만나지 않는 경우

두 원이 만나지 않는 경우

 

위 Case 들을 고려하여 코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다.

 

단, 그림에서의 설명과는 다르게 거리의 제곱을 이용하여 비교를 하기 때문에 중간에 **2를 이용하여 제곱한 값을 사용한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 const input = ['7', '0 0 13 40 0 37', '0 0 3 0 7 4', '1 1 1 1 1 5', '40 0 37 0 0 13', '0 7 4 0 0 3', '1 1 5 1 1 1', '0 0 3000 4000 2500 2500']
 
 
const numOfInputs = parseInt(input[0]);
 
for(let i = 1; i <= numOfInputs; i++) {
  const [x1, y1, r1, x2, y2, r2] = input[i].split(" ").map(el => parseInt(el))
 
  const p1 = {x: x1, y: y1}
  const p2 = {x: x2, y: y2}
 
  // sqet(root)를 취하는 경우 소수점의 오차 때문에 비교가 힘들기 때문에 제곱된 값을 그대로 사용
  const squaredDistance = getSquaredDistance(p1, p2)
  console.log(findPointsCount(squaredDistance, r1, r2))
}
 
function getSquaredDistance(p1, p2) {
  return ((p1.x - p2.x) ** 2+ ((p1.y - p2.y) ** 2)
}
 
function findPointsCount(d, r1, r2) {
  const squaredSumR = (r1 + r2) ** 2
  const squaredDiffR = (r1 - r2) ** 2
 
  if(d == 0) {
    // 원점이 같을 때
    if(r1 == r2) return -1
    return 0
  } else {
    if(d > squaredSumR || d < squaredDiffR) {
      // Case4 : 0개일때
      return 0
    } else if(d == squaredDiffR || d == squaredSumR){
      // case 1,2: 1개일때(내접 또는 외접)
      return 1
    } else if(d < squaredSumR){
      // case 3: 2개일떄
      return 2
    }
  }
}
 
cs
반응형
반응형

문제

19세기 독일 수학자 헤르만 민코프스키는 비유클리드 기하학 중 택시 기하학을 고안했다.

택시 기하학에서 두 점 T1(x1,y1), T2(x2,y2)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T1,T2) = |x1-x2| + |y1-y2|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제외한 나머지 정의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정의와 같다.

따라서 택시 기하학에서 원의 정의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원의 정의와 같다.

원: 평면 상의 어떤 점에서 거리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

반지름 R이 주어졌을 때,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원의 넓이와, 택시 기하학에서 원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반지름 R이 주어진다. R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반지름이 R인 원의 넓이를, 둘째 줄에는 택시 기하학에서 반지름이 R인 원의 넓이를 출력한다. 정답과의 오차는 0.0001까지 허용한다.

 

해설

택시 기하학에서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맨해튼 거리(Manhattan Distance)라고도 부른다.

맨해튼 거리의 원은 우리가 생각하는 동그라미 모양의 원이 아니다.

원의 정의를 이용하여 선을 그리면 기울어진 정 사각형 모양이 그려지는데, 원의 정의와는 일치한다.

원: 평면 상의 어떤 점에서 거리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

즉, 거리의 정의가 달라지면서 원의 모양도 변하게 되는 것이다.

 

정리를 해보면

원의 넓이는 

유클리드계에서의 원의 넓이 = PI * r^2

맨해튼 거리를 이용한 원의 넓이 = 한변의 길이가 2 *r 인 직사각형의 넓이 = ( 2 *r)^2 = 2 * r ^2

이 된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var fs = require('fs');
var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
 
const PI = Math.PI
 
const r = parseInt(input);
 
// 원의 넓이
console.log((PI * r * r).toFixed(6))
 
// 택시 기하학, 맨하튼 거리 원의 넓이
console.log((2 * r * r).toFixed(6))
 
cs

 

반응형
반응형

문제

과거 이집트인들은 각 변들의 길이가 3, 4, 5인 삼각형이 직각 삼각형인것을 알아냈다. 주어진 세변의 길이로 삼각형이 직각인지 아닌지 구분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개의 테스트케이스로 주어지며 마지막줄에는 0 0 0이 입력된다. 각 테스트케이스는 모두 30,000보다 작은 양의 정수로 주어지며, 각 입력은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출력

각 입력에 대해 직각 삼각형이 맞다면 "right", 아니라면 "wrong"을 출력한다.

 

해설

먼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한번 보고 오실까요?

https://ko.wikipedia.org/wiki/%ED%94%BC%ED%83%80%EA%B3%A0%EB%9D%BC%EC%8A%A4_%EC%A0%95%EB%A6%AC

 

피타고라스 정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타고라스 정리: 두 직각변에 얹힌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빗변에 얹힌 정사각형의 넓이와 같다. 기하학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문화어: 세평방의정리, 영어: Pythagorean theorem, Pythagoras's theorem

ko.wikipedia.org

 

피타고라스 정리는 간단하게 정리하면

 

a^2+b^2 = c^2

입니다!

 

따라서 주어신 3개의 변중에 빗변(c)을 찾고,

 

나머지 두 변의 제곱 값을 더한 값이 빗변의 제곱과 같은지만 확인 하면 되는 간단한 문제입니다!

 

바로 코드로 넘어갈게요.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var fs = require('fs');
var inputs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for(let line of inputs) {
  let values = line.split(' ').map(el => parseInt(el));
 
  if(values[0=== 0break;
  // 정렬을 하는 이유는 제일 큰 숫자가 빗변이기 때문에.
  values.sort((a, b) => {
    return a - b;
  });
 
  // a^2+b^2=c^2이 성립하여야 직각이다.
  if((values[0* values[0]) + (values[1* values[1]) === (values[2* values[2])) {
    console.log("right")
  } else {
    console.log("wrong")
  }
}
cs
반응형

+ Recent posts